-
- 1906
- 05.조선황실 純獻皇貴妃(慶善宮)로부터 龍洞宮趾(구 교사 대지)와 경비보조를 받아 ‘明新女學校’를 설립하고 초대 교장으로 정경부인 李貞淑 여사 취임하다(22일).
- 1907
- 05.英親王宮으로부터 황해도 재령군, 신천군, 은율군, 안악군, 경기도 파주군, 전라남도 완도군 소재 농경지 1,000여 정보를 받다.
- 1908
- 12.‘明新高等女學校’로 개칭하다.
- 1909
- 05.‘淑明高等女學校’로 개칭하다.
- 1910
- 04.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고 기예과를 병설하다.
- 1911
- 11.‘淑明女子高等普通學校’로 개칭하다.
- 1912
- 01.경선궁 및 영친왕이 제공한 황해도, 전라남도, 경기도 등 3도내 신천, 은율, 안악, 재령, 파주, 완도 등 6군의 농경지 수익금으로 ‘재단법인 숙명학원’을 설립하다.
- 1915
- 03.강습과를 병설하다.
- 1935
- 08.小田省吾 선생 교장에 취임하다.
- 1938
- 05.이왕직 장관으로부터 학교 부지 6,471평을 무상임대 승락받다.
- 12.재단법인 숙명학원에서 ‘淑明女子專門學校’를 현 교지(교사 314평)에 창립하고, 가정과·기예과·전수과를 두다(21일). 기숙사 부지 1,390.3평을 구황실로부터 양여받다.
- 1939
- 04.초대 교장에 小田省吾 선생 취임하다. 가정과·기예과에 각 40명, 전수과에 50명의 학생을 선발, 개교하다(20일).
- 1940
- 09.본관,소강당 및 기숙사(총건평 1,618평)를 신축하다.
- 1945
- 11.법학박사 임숙재 선생 교장에 취임하다.
- 1948
-
05.‘淑明女子大學’으로 승격(22일).
문학부: 국문학과·영문학과·미술학과·음악학과
이학부: 이학과·가사학과를 두다.
- 1951
- 09.6·25사변으로 피난지 부산시 동대신동에 가교사를 신축하고 강의를 계속하다.
- 1953
- 02.문학부에 정경학과, 이학부에 약학과를 신설하다.
- 09.서울지구 수복에 따라 서울 본교에 복귀하다.
- 1954
- 12.본교 인접 3층 건물(대지 153평, 건평 342평)을 매입하다.
-
- 1955
-
03.종합대학교로 승격(9일), 문리과대학에 국문학과·영문학과·교육학과·가정학과, 정경대학에 정치외교학과·경제학과, 음악대학에 음악학과, 약학대학에 약학과의 4개 대학 및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가정학과를 설치하다.
법학박사 임숙재 선생 초대 총장에 취임하다.
- 1956
- 04.부설 중등교원양성소(3과 240명)를 두다.
- 06.본관 교사 3층(건평 704평)을 증축하다.
- 1957
- 02.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응암동 소재 임야 152,720평을 매입하다.
- 1958
- 09.문학박사 김두헌 선생 제2대 총장에 취임하다.
- 11.대강당(총건평 1,142평)을 신축하다.
- 1959
- 02.문리과대학에 사학과, 정경대학에 상학과를 신설하고 정경대학 경제학과를 경영학과로 변경하다.
- 03.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음악학과, 약학과를 신설하다.
- 06.본관 서측교사(건평 587평)를 증축하다.
- 1960
- 07.의학박사 김두종 선생 제3대 총장에 취임하다.
- 1961
- 09.도서관(건평 892평)을 신축하다.
- 1962
- 04.문학박사 이능우 선생 총장서리에 취임하다.
-
12.서관 앞 토지 청파동2가 산4-3 외 1필지 2,040평을 매입하다.
체육장 2,820평(현재 서관앞 잔디지역)을 조성하다.
문리과대학에 구문학과·생활미술과·보건체육과를 신설, 가정학과를 가정관리학과·의류학과·식품영양학과로 분과 신설, 정경대학에 경제학과를 신설, 음악대학의 음악과를 기악과·성악과·작곡과의 3과로 분과, 신설하다.
- 1963
- 0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교육학과·정치외교학과·경제학과의 3학과를 신설하고, 박사학위과정에 국어국문학과·영어영문학과·가정학과·음악학과·약학과를 신설하다.
- 03.과학박물관 대지 870평을 임차하다.
-
06.경제학박사 김순식 선생 제4대 총장에 취임하다.
문리과대학의 구문학과를 구주문학과로 변경하다. - 09.서대문구 응암동 임야(152,720평)를 관악구 남현동 임야 449,040평으로 환지하다.
- 1964
- 02.문리과대학의 구주문학과를 불어불문학과로 변경하다.
- 05.대학원관(건평 251평, 연 1,143평)을 증축하다.
- 1965
- 01.철학박사 윤태림 선생 제5대 총장에 취임하다.
- 1966
- 01.생활관(건평 65평, 대지 322평)을 신축하다.
- 04.과학박물관 4층 건물(건평 1,337평, 대지 870평)을 신축하다.
- 08.학교 인접 토지 및 가옥(건평 38평, 대지 110평)을 매입하다.
- 12.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사학과, 박사학위과정에 교육학과·정치외교학과를 신설하다.
- 1967
- 11.과학박물관 앞 광장(473평) 미화시설을 완공하다.
- 12.청파동 2가 산1-2외 2필지(과학박물관 인접지) 3,200평의 관리권을 이양 받아 교지로 활용하다.
- 1968
- 01.문리과대학에 생활과학과를 신설하다.
-
02.김신조의 청와대습격 미수사건 이후 당시 6관구 사령관이 한강 이북의 방위선 구축을 목적으로 본교 소유 남현동 토지를 강제 점유함.
이후 75년 2월부터 86년 3월까지 11년 동안 네 차례에 걸쳐 전국 12개 시·군에 산재한 국방부 유휴지 57만여 평으로 환지받다. - 04.숙명여자전문학교 창립 3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하다.
-
12.과학박물관 부속건물(건평 17평)을 준공하다.
문리과대학 생활과학과를 물리학과·화학과로 분과신설, 약학대학에 제약학과를 신설하고, 문리과대학 생활미술과를 응용미술과로, 보건체육과를 체육학과로 변경하고 정경대학 상학과를 무역학과로 대체, 변경하다.
- 1969
- 02.문학박사 이인기 선생 제6대 총장에 취임하다.
- 04.대학본부와 약학대학을 연결하는 숙명교(육교 길이 30m, 폭 3m)를 준공하다.
- 08.신축기숙사 5층 건물(명관, 570평)을 준공하다.
- 10.온실 및 부속건물(64평)을 준공하다.
- 12.문리과대학의 가정관리학과·의류학과 및 식품영양학과를 분리하여 가정대학을 신설하다.
- 1970
- 08.서관교사 4층 건물(2,476평)을 준공하다.
- 1971
- 0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체육학과, 경영학과를 신설하다.
- 10.학생회관(지하 1층, 지상 5층) 건물(1,321평)을 준공하다.
- 12.문리과대학에 중어중문학과, 가정대학에 아동복지학과를 신설하다.
- 1972
- 0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가정학과를 가정관리학과·식품영양학과로 분류, 증과하다.
- 1973
- 02.법학박사 김경수 선생 제7대 총장에 취임하다.
- 05.교양학부를 설치하다.
-
12.문리과대학의 응용미술과를 산업미술과·산업공예과로 분과하여 산업미술대학을 신설하다.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불어불문학과·응용미술학과를 신설하다.
- 1974
- 03.본관 신축 제1차 공사인 가정대학 교사(1,231평)를 준공하다.
- 04.구 효창국민학교 부지 3,681.3평을 교지로 매입하다.
- 12.문리과대학에 독어독문학과·생물학과·수학과를 신설하고 체육학과를 체육교육과로 개편하다.
- 1975
-
01.대학교육개선을 위한 실험대학으로 선정되어 부전공제 실시, 졸업에 필요한 소요이수학점의 감축(160학점 이상을 140학점 이상으로 개정), 가정대학 및 정경대학의 계열별 모집을 골자로 하는 학칙변경을 인가받다.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물리학과·화학과·의류학과를 신설하다. - 04.교양학부를 폐지하다.
- 12.문리과대학에 도서관학과를 신설하다.
- 1976
- 0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무역학과를 신설하다.
- 02.기숙사 숙관 5층 건물(1,706평)을 준공하다.
- 04.졸업논문제시행에 따라 학칙변경을 인가받다.
- 08.인천시 북구 산곡동(부평) 소재 대지 4,430평을 매각하다.
-
12.문리과대학을 문과대학과 이과대학으로 분리, 개편하다.
학생회관 위 부지 15.4평을 매입하다.
- 1977
- 0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중어중문학과를 신설하고 박사학위과정에 사학과·경영학과를 신설하다.
- 02.신축 본관 지하 1층, 지상 10층 건물(3,430평, 본관 총평수 4,661평)을 준공하다.
- 04.교육학박사 서명원 선생 제8대 총장에 취임하다.
- 07.법학박사 차락훈 선생 제9대 총장에 취임하다.
- 1978
- 02.대학원 석사학위 과정에 아동복지학과를 신설하다.
- 06.동창회에서 시계탑을 준공, 모교에 헌납하다.
- 12.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독어독문학과를 신설, 응용미술학과·음악학과를 폐지하고 산업미술학과·산업공예학과·기악학과·성악학과·작곡학과를 신설, 박사학위과정에 불어불문학과를 신설하다.
- 1979
- 09.이과대학(체육교육과 제외)을 계열 모집하는 학칙으로 변경하다.
- 1980
- 10.음악대학 기악과를 피아노과와 관현악과로 개편, 신설하다.
- 1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생물학과·수학과를 신설하고 박사학위과정에 경제학과·물리학과·화학과·제약학과를 신설하다.
- 12.산업미술대학을 미술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 1981
-
08.정치학박사 김옥렬 선생 제10대 총장에 취임하다.
과학관(이과대학, 미술대학) 지하 1층 지상 5층 건물(건평 3,171평)을 준공하다. - 10.문과대학 교육학과를 교육학과와 교육심리학과로 개편 신설하고 정경대학에 법학과를 신설하다.
- 11.교육대학원을 설치하여 석사학위과정에 교육학계, 어문교육계, 사회교육계, 과학교육계, 가정교육계, 예·체능계를 두다.
- 1982
- 10.정경대학을 정법대학과 경상대학으로 분리 개편하고, 문과대학에 한국사학과, 이과대학에 전산학과, 무용과, 정법대학에 행정학과, 경상대학에 소비자경제학과, 미술대학에 회화과를 증설하다.
- 1983
- 10.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도서관학과·제약학과, 박사학위과정에 독어독문학과를 신설하고, 가정학과를 폐지하고, 가정관리학과·의류학과·식품영양학과·아동복지학과로 분류, 증설하다.
- 11.산업대학원을 설치하여 석사학위과정에 경영학과, 산업미술학과를 두다.
- 12.제2교사 부지로 용인군 이동면 천리 임야 116,220평을 매입하다.
- 1984
- 11.중앙도서관 지하 1층 지상 6층 건물(건평 3,568평)을 준공하다. 미술대학 산업공예과를 공예과로 명칭 변경하다.
- 12.대학원 박사학위과정에 수학과·생물학과를 증설하다.
- 1985
- 08.정치학박사 김옥렬 선생 제11대 총장에 취임하다.
- 1986
- 1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전산학과를 신설하다.
- 1987
-
05.경남 양산소재 임야 등 84,984평 매각하다.
부산 광안동 소재 대지 345평 매각하다. -
11.이과대학에 통계학과를 신설하고, 졸업정원 1,320명에서 입학정원 1,520명으로 200명을 증원하다.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교육심리학과, 한국사학과, 소비자경제학과, 회화학과, 미술사학과를 신설하여 학생정원은 8계열 34개 학과 510명, 박사학위과정은 83명에서 100명으로 증원하다.
- 1988
- 01.평생교육원 설립하다.
-
04.숙명여자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하다.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의 산업공예학과를 공예학과로 명칭 변경하다. - 08.제2교사부지(이동면 천리 임야 7,560평)를 추가 매입하다.
- 11.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무용과를 신설하여 학생정원은 8계열 35개학과 522명, 박사학위과정은 미술사학과를 신설하여 6계열 21개 학과 125명으로 증원하다.
- 12.대학 내 산림청 소관 임야 1,514.6평을 매입하다.
- 1989
- 03.부산시 광안동 소재 임야 194평을 매각하다.
- 1990
- 01.용인연수원 진입로 2,490평을 증여받다.
-
03.약학박사 정규선 선생 제12대 총장에 취임하다.
청파동 소재 재무부 소관임야 580.2평을 매입하다. - 10.용인연수원 지하 1층 지상 3층 건물(건평 1,904평)을 준공하다.
- 1991
- 11.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정원을 546명으로, 박사학위과정 정원을 141명으로 증원, 산업대학원에 행정학과를 신설하여 3개 학과 19개 전공 135명으로 증원하다.
-
12.영어영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전산학과, 통계학과에 야간학부를 설치하다. (4개 학과 160명)
도서관학과를 문헌정보학과로 명칭 변경하다.
본교 소유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 고기리 산46 외 15필지 260,131평과 국방부 소유 B지구 청파동 3가 136번지 1,123.2평을 교환하다.
- 1992
-
07.야간학부에 경영학과, 무역학과를 신설하다. (2개 학과 80명)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도서관학과를 문헌정보학과로, 회화과를 회화학학과로 무용과를 무용학과로 명칭 변경하고 박사학위과정에 전산학과를 신설하다.
석사학위과정 정원을 546명에서 576명으로 증원하고, 박사학위과정 정원을 141명에서 150명으로 증원하다.
산업대학원 석사학위과정의 정원을 135명에서 150명으로 증원하다. - 09.교육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전자계산교육 전공을 신설하고, 정원을 270명에서 300명으로 증원하다.
- 12.서관교사 5층(건평 661평)을 증축하다.
- 1993
- 09.미술대학의 산업미술과를 산업디자인과로 학과 명칭을 변경하다.
- 12.서문앞 재무부 토지 591.4평을 매입하다.
- 1994
- 03.정치학박사 이경숙 선생 제13대 총장에 취임하다.
-
09.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정보방송학과, 경제학과에 야간학과를 설치하다. (4개 학과 240명)
야간 영어영문학과와 중어중문학과에 각 학과당 20명씩, 전산학과와 통계학과에 각 학과당 10명씩 증원하다. - 10.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정원은 576명에서 606명으로, 박사학위과정 정원은 150명에서 160명으로, 교육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정원은 300명에서 330명으로 각각 증원하고 산업대학원은 경영대학원(40명 정원), 정책대학원(40명 정원), 디자인대학원(70명 정원)으로 각각 분리 및 소속변경하고 정원 60명의 임상약학대학원을 신설하다.
- 12.약대 뒤 B지구 산림청 및 국방부 소유 효창근린공원 3,734평을 공원 해제하고, 학교시설로 결정하다(1차 공원해제).
-
- 1995
- 01.성북동 소재 임야 3,734평을 매입하다.
-
02.창학 100주년인 2006년을 향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제2창학을 선언하다.
최희인씨로부터 충남 부여군 외산면 장항리 산13 60,397㎡ 기증받다. - 04.약대 뒤 B지구 1차 공원해제 부지내 산림청 및 국방부 소유 토지 2581.8평을 매입하다.
-
08.제2창학의 상징으로 새 교문을 신축하다.
학생회관 자리인 용산구 청파동2가 53-13 구유지 30.3평을 매입하다. -
10.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법학과, 행정학과를 신설하고 박사학위과정에 무역학과를 신설하다.
석사학위과정 정원은 606명에서 676명으로, 박사학위과정 정원은 160명에서 170명으로 각각 증원하다.
교육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정원은 330명에서 350명으로, 디자인대학원 정원은 70명에서 110명으로, 임상약학대학원 정원은 60명에서 80명으로 각각 증원하고 경영대학원 및 정책대학원은 40명에서 60명으로 각각 증원하다.
대학내 국유지인 청파동2가 53-39 외 6필지 961.2평을 매입하다.
- 1996
-
04.용인연수원 운동장 부지 4,585평을 매입하다.
21개 부설연구소를 10개로 통합, 개편하다. - 05.창학 9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하다.
- 07.용인연수원 진입로 304.3평을 매입하다.
-
10.이과대학의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를 자연과학 I계열로, 수학과, 통계학과를 자연과학II계열로, 경상대학의 경제학과, 소비자경제학과를 경제학부로, 경영학과, 무역학과를 경영학부로, 음악대학의 피아노과, 관현악과를 기악과로 약학대학의 약학과, 제약학과를 약학부로 통합 개편하고 야간학부에 홍보기획학과, 환경디자인과를 신설하다.
야간 학부 정원이 540명에서 590명으로 50명 증원되다 -
11.국제관계대학원, 음악치료대학원을 설치하다.
아태여성정보통신센터를 설치하다.
- 1997
- 01.김경애 동문으로부터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소재 토지 529평을 기증받다.
- 04.국제관 건축을 위한 부지로 청파동 1가 98-11외 3필지 361.4평을 매입하다.
- 09.교수회관(지하 1층 지상 7층, 연면적 1,441.1평)을 준공하다.
-
10.정보통신대학원, 전통문화예술대학원을 설치하다.
이과대학의 전산학과, 문헌정보학과가 정보과학부로, 가정대학의 가정관리학과, 아동복지학과가 가정·아동복지학부로,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가 생활과학부로, 정치외교학, 법학, 행정학 및 신설된 특수법무학 전공(야간)이 정법학부로, 정보방송학과, 홍보기획학과가 언론정보학부로 개편·통합하고, 문과대학에 일본학과를 야간으로 설치하다.
야간 입학정원이 590명에서 730명으로 140명 증원되다.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정원은 390명에서 405명으로, 박사학위과정 정원은 68명에서 71명으로 각각 증원되다.
교육대학원 입학정원은 150명에서 170명으로, 디자인대학원 입학정원은 44명에서 56명으로, 음악치료대학원 입학정원은 40명에서 52명으로 각각 증원하다.
- 1998
- 02.가상교육센터를 설치하다.
- 03.정치학박사 이경숙 선생 제14대 총장에 취임하다.
- 07.행정관(지하 2층 지상 7층, 연면적 4,203.4평)을 준공하다.
-
08.아태여성정보통신센터를 부설기관으로 확대, 여성정보화 지원사업 추진하다.
용인연수원 진입로 중 631-1 도로 41.1평을 매입하다.
학생회관 옥상 144.7평 및 강당 옆 온실 1개소 44.5평을 증축하다. - 09.유아원(121.1평)을 증축하다.
-
10.문과대학의 국어국문학과, 사학과, 한국사학과를 인문학부로 통합하고, 일본학과(야)를 인문학부(야)로 변경하다.
이과대학의 정보과학부 내 멀티미디어학전공을 신설, 전산학전공을 컴퓨터과학전공으로 명칭 변경하고, 수학·통계학부(야)를 폐지하다.
정법대학 정법학부(야), 언론정보학부(야), 미술대학 환경디자인과(야)를 주간 전환하다.
야간 입학정원 730명 중 350명을 주간 전환하다. - 11.용산구 청파동 2가 47-36 외 9필지 596평을 매입하다.
-
12.교육대학원 중등교육전공을 폐지하고 상담교육전공을 신설하다.
창업지원센터를 설치하다.
- 1999
- 01.제1국제관(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766.4평)을 준공하다.
-
05.사회교육과학연구소의 아동연구센터를 아동연구소로 분리, 독립하다.
서초구 방배동 산 102-20 외 2필지 임야 2,118.4평을 대체공원 용도로 매입하다. - 06.문신미술연구소를 설치하다.
-
10.문과대학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과를 교육학부로 통합하다.
이과대학 정보과학부(야) 90명 중 40명은 주간으로 전환하고, 문과대학 문화관광학과(50명 정원)를 신설하다.
가정대학 가정·아동복지학부와 생활과학부를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로, 미술대학 산업디자인과, 환경디자인과를 디자인학부로 통합하다.
영어영문학부(야) 20명을 주간으로 전환하다. -
11.대학원 석사학위과정 60명, 박사학위과정 15명, 협동과정 10명 증원되다.
교육대학원 50명, 음악치료대학원 10명, 디자인대학원 10명 증원되다.
TESOL대학원(정원 30명)을 설치하다.
과학관 지상 5층에 오존관측소 1개소 증축하다.
학생회관 앞 ‘안쓰는 물건 바꾸어 쓰기 센터(안물바센터)’를 증축하다. -
12.청파동 2가 47-28외 1필지 73.9평을 매입하다.
제2국제관(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286.2평)을 준공하다.
- 2000
-
02.서관 6, 7층(연면적 740평)을 증축하다.
본교 남현동 토지의 수용대가로 85년 4월 국가로부터 받은 토지 중 경북선산 소재 농지 4필지 4,234.1평에 대해 김재규씨 유가족들이 소유권을 회복해감에 따라 국가를 상대로 소유권 반환 소송을 통해 관악구 남현동 산 104-3(현 수도방위사령부 소재) 31,070.5평을 되찾다.
본교 B, C지구를 양분하는 일방통행도로와 도서관 및 약대의 경사면을 합한 잔여 공원용지 2,107.9평을 공원해제하고 학교시설로 결정하다. (2차 공원 해제) - 04.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를 아시아여성연구소로 명칭 변경하다.
- 05.제2창학선언 5주년 기념대회를 개최하다
-
07.특수대학원 소속 임상약학대학원을 폐지하고 임상약학전문대학원을 신설하다.
디자인대학원 10명, TESOL대학원 10명을 증원하고, 원격향장산업대학원 30명, 원격교육공학대학원 30명을 특수대학원 소속으로 신설하다.
대학원 문헌정보학과를 계열 변경하다. (인문사회→자연과학) -
08.정법대학 정법학부를 정치행정학부, 법학부로 분리하다.
디자인학부에 영상애니메이션전공을 신설하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를 신설하고, 전산원을 전산정보원으로 명칭 변경하다.
국제어학교육센터를 LinguaExpress(국제언어교육원)로 명칭 변경하고 부속기관으로 편제를 변경하다.
청파동 2가 53-12 외 7필지 도자기실 105.84㎡(32평) 멸실하다.
제2창학캠퍼스 내 소재 민가 1필지 청파동 3가 117-5번지 72.7㎡(22평) 매입하다.
제2창학캠퍼스 내 소재 민가 1필지 청파동 3가 117-3번지 175.2㎡(53평) 매입하다. -
09.멀티미디어센터를 부설기관으로 신설하다.
제2창학캠퍼스(B지구) 약학대학·사회교육관을 준공하다.
청파동 3가 141번지 외 11필지상 약학대학 4,158.3㎡(1,257.9평) 멸실되다. - 10.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을 중국어교육전공으로 명칭 변경하다.
-
11.용인 명신원 진입로 이동면 천리 630-2번지 1,228㎡(371.5평) 매각하다.
제2창학캠퍼스내 서울시, 재경원, 산림청 토지 6필지 4,864㎡(1,471.4평) 매입하다.
본교 소유 관악구 남현동 산 104-3번지 102,713㎡와 청파캠퍼스내 소재하는 국방부 소유 용산구 청파동 3가 115-26, 117, 산2-21번지 3필지 1,443.1㎡를 교환 취득하다. - 12.대강당 뒤 청파동 2가 47-13외 3필지 604.6㎡(182.9평)을 매입하다.
- 2001
- 01.제2창학캠퍼스 미술대학을 준공하다.
- 02.임상약학전문대학원을 25명으로 정원조정하여 임상약학특수대학원으로 전환하다.
-
04.지구환경연구소를 부설연구기관으로 신설하다.
원격교육연수원을 부설기관으로 신설하다. - 05.용산구 청파동 2가 9-22번지 대지 1,564㎡를 매입하다.
-
06.부속기관인 전산정보원을 정보통신처로 승격시켜 산하에 정보통신 기획운영팀, 정보시스템팀을 설치하다.
교수학습개발센터를 부설기관으로 신설하다.
청파캠퍼스내 소재하던 천주교 서울대교구유지재단 소유 용산구 청파동 3가 117-4번지 대지 109.1㎡를 매입하다. -
07.문화관광학과 10명을 증원하다.
임상약학대학원 7명을 증원하고 원격유아교육정보대학원 30명을 특수대학원으로 신설하다. -
08.문과대학 인문학부(야) 일본학전공을 일본학과로 주간전환하고, 생활과학대학 생활과학부를 가정·아동복지학부, 생활과학부로 분리하다.
미술대학 디자인학부의 전공을 6개로 세분화하다.
행정조직이 부분적인 팀제에서 전체적인 팀제로 개편하다.
교수회관 신관(지하 1층 지상 7층, 연면적 2,980.82㎡) 증축하다. -
10.대학원 석사과정에 멀티미디어학과를 신설하다.
문화예술경영연구소를 부설연구기관으로 신설하다.
본교 소유 용산구 청파동 3가 142-1번지 임야 109.1㎡를 천주교 서울대교구 유지재단측에 매각하다. - 12.제2창학캠퍼스 음악대학을 준공하다. (지상7층 연면적 6,857㎡)
- 2002
- 02.교무처 내 작문능력개발센터, 정보통신처 내 IT교육원, 아시아여성연구소 내 리더십센터를 신설하다.
-
03.정치학박사 이경숙 선생 제15대 총장에 취임하다.
과학관 6, 7층(연면적 1,659.5㎡, 502평) 증축하다. -
08.교무처 내 작문능력개발센터를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다.
학생처 내 취업지원실을 신설하다.
직할부서 SOC전담팀을 사무처 내 SOC21팀으로 개편하다.
직할부서 전략기획실을 기획처 내 전략기획팀으로 개편하다.
기획처 내 기획예산팀을 예산기획팀으로 개편하다.
정보통신처 내 기획운영팀을 IT기획운영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르 꼬르동블루-숙명 아카데미를 부설기관으로 신설하다. - 09.학생처 내 취업지원실을 취업경력개발센터(CADE center)로, 취업지원팀을 취업경력개발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
10.음악도서실 준공하고, 르 꼬르동블루-숙명 아카데미를 개원하다.
리더십센터 총장 직할부서로 신설하다. - 12.원격교육공학대학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원격유아교육정보대학원을 원격대학원으로 통합하다.
- 2003
-
03.본부에 대외협력처를 신설하고 기획처 발전협력팀, 대외교류팀을 대외협력처로 소속 변경하다.
언론정보학부 내 홍보기획학전공을 홍보광고학전공으로, 정보과학부 내 멀티미디어학전공을 멀티미디어과학전공으로 명칭 변경하다.
대강당 뒤 청파동2가 47-18외 4필지 314.4㎡를 매입하다. -
08.입학처를 신설하고 입학처내 입학기획팀을 신설하며 교무처 입학관리팀을 입학처로 소속 변경하다.
교무연구관리실 폐지하고 교무처 내 교무지원팀 및 연구지원팀을 신설하다.
대외협력실 내 산학협력팀 신설하고 기획처 홍보실(홍보팀)를 대외협력처로 소속 변경하다.
일반대학원 교학팀을 폐지하고 그 업무를 교무처, 입학처, 학생처로 각각 이관하여 학사-석·박사과정 통합 관리를 실시하다.
석사학위과정에 문화관광학과를 신설하다. -
09.정보통신대학원의 정원을 4명 축소하여 41명으로, 음악치료대학원의 정원을 6명 축소하여 56명으로 하고 사회교육대학원을 신설하여 정원 10명의 놀이치료학전공을 설치하다.
원격대학원의 사이버교육전공을 원격교육공학으로 명칭변경하다.
부설연구기관 한국전통음식연구소를 한국음식연구원으로 명칭변경하다.
지역학연구소 내 한국어문화 연구센터를 신설하다. -
10.르네상스플라자(박물관, 정영양 자수박물관, 문신미술연구소, 연주홀) 14,863.87㎡, 지하주차장(한국음식연구원, 지하차도, 주민이용주차장) 8,799.89㎡ 완공 및 약학대학 474.75㎡ 증축하다.
도시계획결정 조건에 따라 지하차도, 주민이용주차장(38면) 지상권 설정 후 용산구청에 기부채납하다. - 11.대학원 석사과정 자연과학계 이학계 문헌정보학과를 인문사회계 인문계로 계열변경하다.
- 2004
-
02.부속기관 사이버교육원을 폐지하고 교무처 내 사이버교육원으로 신설하다.
SOC21팀을 폐지하고 총무·인사팀을 SOC 총무·인사팀으로 개편하다.
원격대학원 교학팀 신설, 지역학연구소 내 숙명통번역센터를 신설하다. -
03.문헌정보학 전공을 이과대학 정보과학부에서 문과대학 인문학부로 소속변경하다.
제2외국어문학부(주), 일본학과, 문화관광학과를 인문학부로, 제2외국어문학부(야)를 인문학부(야)로 통합하다.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설립하고 산학협력팀을 신설하다. (대외협력실 내 산학협력팀 폐지) -
05.부설기관 창업지원센터, 문화예술경영연구소 및 문신미술연구소 폐지하고 부설기관으로 문신미술관을 신설하다.
인재관(4,998.57㎡, 1,512평)을 준공하다. -
06.연계전공으로 ‘공통사회 전공’, ‘공통과학 전공’, ‘리더십 전공’을 신설하다.
식품영양학전공 연계 ‘르 꼬르동블루-숙명 학교기업’을 신설하다. -
09.부설기관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신설하다.
총장 직할의 한시적인 부서로 ‘대학자체평가추진실’과 ‘ERP추진팀’을 신설하다. - 10.리더십센터를 숙명리더십개발원으로 확대, 개편하다.
- 11.청파동2가 47-9외 3필지 33.6㎡ 국유지 재정경재부로부터 매입하다.
- 12.대강당 뒤 교지 24필지를 1필지로 합필, 정리하다.
- 2005
-
02.제2창학캠퍼스에 백주년기념관(7,685.08㎡)을 준공하다.
학생회관(1,2층-264.12㎡)을 증축하다.
서울 송파구 장지동 269-1, 207-3 2필지 토지 953㎡가 “서울장지택지개발사업”에 수용됨에 따라 매각하다.
숙명리더십개발원 하부에 리더십연구기획실을 신설하다.
교무처 사이버교육원을 원격대학원과 통합하고, 교무처에 연구지원센터를 신설하고 하부에 연구지원팀을 두다.
학생처 취업경력개발센터를 부속기관 취업경력개발원으로 확대 개편하고, 하부에 취업경력개발팀을 두다.
사무처에 구매팀을 신설하다.
대학에 리더십 교양학부를 두다.
부설기관 아태여성정보통신센터를 연구소로 개편하고, 부속기관에 숙명문화원을 신설하다.
지역학연구소내 센터 전체 및 산업디자인연구소 내의 문화상품개발센터를 폐지하다. -
03.법과대학을 신설하여 법학부를 두고 정법대학을 사회과학대학으로 개편하다.
일반대학원에 통계학과 박사과정을 신설하다.
경영대학원, 정보통신대학원을 통합하여 테크노경영대학원(정원 45명)으로 개편하다.
테크노경영대학원 내에 서비스경영전공을 신설하고 사회교육대학원 내에 리더십교육전공 및 유리드믹스전공을 신설하고 정원을 30명으로 증원하다. -
04.부설연구소에 한국어문화연구소, 여성건강연구소, 영어권언어문화연구소를 신설하다.
서울 용산구 갈월동 101-49의 2 에이트리움-고려 빌딩 2층 11개호실 1,169.92㎡를 매입하다. -
07.부설기관에 성평등상담소, 국제인적자원개발센터를 신설하다.
이하 관련학칙 개정(2006학년도 1학기부터 적용).
특수대학원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을 신설하다.
학부 야간 정원 220명(영문40, 인문100, 경제40, 경영40)을 전원 주간 전환(218명)하고 정원조정하다. (대학구조조정사업에 의해 정원2명 감축)
법과대학 법학부 정원 98명 증원(198명 정원), 문과대학 내 인문학부 문화관광학전공을 문화관광학부(80명 정원)로,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을 생명과학부(정원 60명)로 독립하다.
인문학부 정원 380명을 350명으로 영어영문학부 정원 100명을 120명으로, 자연과학부 정원을 120명을 60명으로, 경제학부 정원 90명을 110명으로, 경영학부 정원 160명을 180명으로 조정하다.
기악과를 기악학부로 변경하고 피아노 전공과 관현악 전공을 두다.
디자인학부(100명) 6개 전공을 3개 전공(시각·영상디자인, 산업디자인, 환경디자인)으로 조정하다. - 08.명신신관 3,946.06㎡를 준공하다.
- 09.도서관 지하열람실 3,164.09㎡를 증축하다.
-
- 2006
-
01.부설 아태정보통신센터의 명칭을 아태정보통신원으로, 부설 국제인적자원개발센터의 명칭을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로 각각 변경하다.
일반대학원에 석·박사 통합과정(박사정원의 20%내)을 설치하다. (2006학년도 1학기 적용) -
03.도서관 리노베이션 및 세계여성문학관 복층 설치완료하다. (면적 397.61㎡ 증가)
정치학박사 이경숙 선생 제16대 총장에 취임하다. - 04.부설연구기관 한국음식연구원을 부설기관으로 전환하고, 부설연구기관 지식산업법제연구소를 신설하다.
-
05.창학 100주년 기념행사를 거행하다.
부설연구기관 여성건강연구소에 여성나노바이오소재센터 및 임상지원팀을 신설하다. -
08.대학원관(진리관) 8,363.26㎡를 준공하다.
한국음식연구원 강의실 180㎡ 확장하다. -
09.문화관광학부(정원 80명)에 르꼬르동블루외식경영전공을 신설하다. (2007학년도 1학기 적용)
특수대학원 정책대학원과 테크노경영대학원을 정책·산업대학원(정원 43명)으로 통합하고 마케팅전공 등 5개 전공을 폐지하며, 디자인대학원을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시각디자인전공 등 9개 전공을 폐지하고 패션디자인전공을 패션코디네이션디자인전공으로 변경, 리빙스타일디자인전공을 신설하며, 임상약학대학원에 사회약학전공을 신설하고, 사회교육대학원내에 피아노페다고지전공, 골프매니지전공, 미용예술전공을 신설하다. (2007학년도 1학기 적용)
전문대학원으로 숙명호스피탈리티경영전문대학원(정원:주간20명, 야간20명)을 설치하다. (2007학년도 1학기 적용) -
11.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정보방송학과, 디자인학과, 조형예술학과를 신설하다. (2007학년도 1학기 적용)
경영전문대학원 신설을 위해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정원을 10명 감축하여 394명으로 하고 석사과정 공예학과와 회화학과를 조형예술학과로 통합하며 미술사학과를 미술계열에서 인문계열로 계열을 변경하다. (2007학년도 1학기 적용)
- 2007
-
02.교무처 내 교수학습센터에 교육매체·e-learning 지원팀을 신설하다. 부설기관인 도서관내 인문과학정보팀, 사회과학정보팀, 자연과학·예체능정보팀을 폐지하여 장서개발팀, 학술정보서비스팀, 학술정보관리팀을 신설하고, 전자정보·지원팀을 전자정보지원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정보과학부의 모집단위를 정보과학부(120명)에서 컴퓨터과학전공(85명), 멀티미디어과학전공(35명)으로 변경하다. - 04.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멀티미디어과학과를 신설하다. (2007학년도 2학기 적용)
-
05.충남 보령시 신흑동 1069 토지 370㎡가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제3지구조성사업” 부지에 편입됨에 따라 매각하다.
서울시 마포구 도화동 173 삼창오피스텔 826호(전용면적 : 38.45㎡) 교수숙소의 용도가 폐기됨에 따라 매각하다.
부속기관인 교육방송국을 영상미디어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조직을 개편하다. -
06.부설연구기관으로 문화예술관광연구소를 신설하다.
교무처내 의사소통능력개발센터를 의사소통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다. - 07.서울 용산구 청파동3가 118-48 건물 1,290.73㎡, 대지 257.5㎡를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09.부설연구기관 사회교육과학연구소를 폐소하고, 해당 연구소 기능을 통일문제연구소에 통합하다.
-
10.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53 영화빌딩 건물 1,453.4㎡, 대지 636.7㎡를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부설기관 출판국을 폐지하다.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여성학협동과정(15명)을 폐지하고 박사과정 입학정원 10명을 증원하다. -
11.부설기관 원격연수원을 폐지하다.
지식법제연구소를 법학연구소로 명칭 변경하다. -
12.인문학부의 사학전공과 한국사학전공을 역사문화학전공으로 신설하다.
교육학부의 교육학전공과 교육심리학전공을 교육학부 교육학전공으로 통합하다.
- 2008
-
02.지역학연구소를 통일문제연구소에 통합하고, 통일문제연구소를 다문화통합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다.
약학대학 6년제 전환에 따라 약학대학 입학정원 80명을 한시적으로 문과대학(인문학부, 문화관광학부 문화관광학 전공, 영어영문학부)에 28명, 이과대학(자연과학부, 생명과학부, 수학·통계학부, 정보과학부 컴퓨터과학전공, 멀티미디어과학전공)에 25명, 생활과학대학 (가정·아동복지학부, 생활과학부)에 10명, 사회과학대학(정치행정학부, 언론정보학부)에 12명, 경상대학(경제학부)에 5명씩 각각 전환하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 43 삼성래미안 공덕2차아파트 103동 1203호 전용면적 59.97㎡를 기숙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03.서울 용산구 청파동1가 121-3외 13필지 대지 3,658.95㎡, 건물 2,275㎡, 주차전용건물 1,998.92㎡를 (재)대한천리교단으로부터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서울 마포구 신공덕동161 신공덕3차 삼성래미안아파트 301동 2201호 전용면적 59.96㎡를 기숙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04.대학원 박사과정에 무용학과(무용학전공)를 신설하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 43 삼성래미안 공덕2차아파트 106동 2003호 전용면적 59.97㎡를 기숙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08.대학원 석사과정 사학과와 한국사학과를 역사문화학과로 통합하다.
대학원 박사과정 사학과를 역사문화학과로 변경하다.
대학원 석사과정 불어불문학과를 프랑스언어·문화학과로 변경하다.
대학원 박사과정 불어불문학과를 프랑스언어·문화학과로 변경하다.
대학원 석사과정 교육학과와 교육심리학과를 교육학과로 통합하다.
입학처에 입학사정관팀을 추가, 설치하다.
기숙사(명재관) 12,584.61㎡(3,807평)를 준공하다. - 09.이학박사 한영실 선생 제17대 총장에 취임하다.
-
12.대외협력처의 대외교류팀을 국제교류팀으로 부서명칭을 변경하다.
산학협력단 산하 산학협력팀을 산학기획팀, 산학운영팀으로 분리, 설치하다.
- 2009
-
01.여성건강연구소에 SIS 면역학연구센터를 추가, 신설하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1-182 도로 69.3㎡를 기숙사 건축에 따른 도시계획시설 사업(학교) 실시계획 변경인가 조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의 허가를 받아 용산구청에 기부 채납하다.
숙명호스피탈리티경영전문대학원 호스피탈리티경영전공을 르꼬르동블루호스피탈리티경영전공으로 명칭병경하다. -
02.기숙시설인 서울 서초구 반포1동 20-1 반포주공3단지아파트 319동 104호 전용면적 49.98㎡ 의 재건축으로 신축된 반포자이아파트 123동 1202호 전용면적 84.998㎡를 배정받아 인도 받다.
입학처의 입학기획팀, 입학관리팀, 입학사정관팀을 입학팀, 입학사정관팀으로 통합, 조정하다.
기획처에 평가감사실을 신설하다. - 03.창업지원센터 1관(327.31㎡), 2관(243.21㎡)을 철거·멸실하다.
- 04.부속기관에 한국문화교류원을 신설하다.
-
05.글로벌서비스학부를 신설하고, 글로벌협력전공(정원 28명), 앙트러프러너십전공(정원 20명)을 설치하다. (2010학년도 제1학기 적용)
약학대학 6년제 전환에 따라 약학대학 입학정원 80명을 한시적으로 문과대학(인문학부, 문화관광학부 문화관광학 전공, 영어영문학부)에 10명, 이과대학(자연과학부, 생명과학부, 수학·통계학부, 정보과학부 컴퓨터과학전공, 멀티미디어과학전공)에 7명, 생활과학대학(가정·아동복지학부, 생활과학부)에 6명, 사회과학대학(정치행정학부, 언론정보학부)에 5명, 경상대학(경제학부)에 4명, 글로벌서비스학부(글로벌협력전공, 앙트러프러너십전공)에 48명씩 각각 전환하다.
리더십개발원 부설기관인 창조적리더십연구센터를 폐지하다. -
06.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농촌진흥청 학·연·산협동과정을 설치하고, 운영학과는 생명과학과와 식품영양학과로 하다. (2010학년도 제1학기 적용)
입학처에 입학전형개발센터를 신설하고 입학사정관팀을 두다.
아시아여성연구소 산하기관인 여성HRD연구센터를 폐지하다. -
07.한국음식연구원 산하에 식생활교육연구센터를 신설하다.
한국음식연구원 강의실 158㎡(48평)를 확장하다. - 09.명신관 학생식당 135㎡(41평)를 확장하다.
- 10.대학원 독어독문학과를 독일언어·문화학과로 명칭변경하다.
-
12.부속기관으로 교양교육원을 신설하다.
교양교육원에 일반영어센터, 역량개발센터, 교양교육센터를 신설하고, 교양교육센터에는 교양교육팀을 두다.
의사소통센터를 교무처에서 교양교육원으로 소속 변경하다.
국제언어교육원 영어교육평가실을 폐지하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71-142 대지 485.7㎡, 건물 641.06㎡를 기숙시설 및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2010
-
02.글로벌비스학부 부설기관으로 앙트러프러너십센터를 신설하다.
숙명비전 블루리본 프로젝트 선포식을 거행하다. -
04.문과대학 인문학부 국어국문학전공을 한국어문학부로(정원 80명), 인문학부 역사문화학전공을 역사문화학과로(정원 40명), 인문학부 프랑스언어·문화학전공을 프랑스 언어·문화학과로(정원 34명), 인문학부 중어중문학전공을 중어중문학부로(정원 90명), 인문학부 독일언어·문화학전공을 독일언어·문화학과로(정원 25명), 인문학부 일본학전공을 일본학과로(정원 40명), 인문학부 문헌정보학전공을 문헌정보학과로(정원 30명) 개편하다.
이과대학 자연과학부 물리학전공을 나노물리학과로(정원 24명), 자연과학부 화학전공을 화학과로(정원 50명), 생명과학부를 생명과학과로(정원 50명), 수학·통계학부 수학전공을 수학과로(정원 41명), 수학·통계학부 통계학전공을 통계학과로(정원 50명), 정보과학부 컴퓨터과학전공을 컴퓨터과학부로(정원 75명), 정보과학부 멀티미디어과학전공을 멀티미디어과학과로(정원 40명) 개편하고, 의약과학과를(정원 20명) 신설하다.
생활과학대학 가정·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학전공을 가족자원경영학과로(정원 25명), 가정·아동복지학부 아동복지학전공을 아동복지학부로(정원 60명), 생활과학부 의류학전공을 의류학과로(정원 38명), 생활과학부 식품영양학전공을 식품영양학과로(정원 49명) 개편하다.
사회과학대학 정치행정학부 정치외교학전공을 정치외교학과로(정원 39명), 정치행정학부 행정학전공을 행정학과로(정원 37명), 언론정보학부 홍보광고학전공을 홍보광고학과로(정원 47명) 개편하고, 사회심리학과를(정원 25명) 신설하다.
법과대학 법학부는 정원을 198명에서 150명으로 조정하다.
경상대학 경제학부 경제학전공을 경제학부로(정원 85명) 개편하다.
경상대학 경제학부 소비자경제학전공을 사회과학대학 소비자경제학과로(정원 25명) 개편하다.
음악대학 기악학부 피아노전공을 피아노과로(정원 38명), 기악학부 관현악전공을 관현악과로(정원 44명) 개편하고, 성악과와 작곡과는 정원을 각각 30명에서 29명으로 조정하다.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영상디자인전공을 시각·영상디자인과로(정원 40명),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을 산업디자인과로(정원 30명), 디자인학부 환경디자인전공을 환경디자인과로(정원 30명) 개편하다.
글로벌서비스학부 글로벌협력전공은 정원을 28명에서 24명으로, 앙트러프러너십전공은 20명에서 19명으로 조정하다.
문과대학 영어영문학부를 독립학부인 영어영문학부로(정원 122명, 테슬전공 24명 포함) 개편하고, 영어영문학부에는 테슬(TESL)전공을 신설하다.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부 정보방송학전공을 독립학부인 미디어학부로(정원 64명) 개편하다. (2011학년도 제1학기 적용) - 05.학생처에 장애학생지원센터를 신설하다.
- 06.약학대학에 산업약학과를 계약학과로 신설하다. (2011학년도 제1학기 적용)
- 08.서울 용산구 청파동1가 89-70 대지 209.05㎡, 건물 347.81㎡, 청파동2가 47-5 대지 195.1m2, 건물 418.4㎡, 청파동2가 48-3, 4, 13 대지 117.4㎡, 건물 107.11㎡를 기숙시설 및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09.서울 용산구 효창동 2-2 대지 397.7㎡, 건물 656.88㎡를 기숙시설 및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영화빌딩 1,453.41㎡(440평)를 철거·멸실하다. -
10.대학원 박사과정 학·연·산 협동과정 식품의약품안전청을 신설하고 운영학과는 생명과학과, 식품영양학과, 약학과, 제약학과로 하다. (2011학년도 제1학기 적용)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47-20 대지 321.3㎡, 건물 220.74㎡를 기숙시설 및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대강당 3,774.83㎡(1,142평)를 철거·멸실하다. - 11.교무처에 교직운영실을 신설하고, 부속기관에 학생군사교육단을 신설하다.
- 12.대강당 후면 지상주차장 설치(101대) 및 소규모건축물 4개동을- 현금인출 부스(5.94㎡), 기숙사경비초소(3.96㎡), 과학관 경비초소(7.92㎡), 도서관 경비초소(3.96㎡) 준공하다.
- 2011
- 02.정보통신처를 지식정보처로 개편하고, 교무처 교수학습센터를 지식정보처로 소속을 변경하다. 교수학습센터 교육매체·e-learning지원팀과 IT기획운영팀, 정보시스템팀을 폐지하고, 지식정보운영팀, 지식정보시스템팀을 신설하다. 부속기관인 학생군사교육단을 총장 직할부서로 개편하다. 약학대학에 교학팀을 신설하다.
- 03.새빛관 2,270.2㎡(687평) RENOVATION을 완료하다.
-
04.문과대학 영어영문학부에 영어영문학전공을 신설하다. (2012학년도 1학기 적용)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외식경영학과를 신설하다. (2011학년도 2학기 적용) -
08.연구처를 신설하고 교무처 연구지원센터, 연구지원팀을 연구처로 소속을 변경하다.
부속기관으로 숙명역사관을 신설하다.
부설기관으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신설하고, 부설연구기관인 산업디자인연구소를 디자인연구소로 명칭변경하다.
일반대학원 정보방송학과를 미디어학과로 명칭변경하다. (2012학년도 1학기 적용)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학과간 협동과정 인력개발정책학을 신설하다. (2012학년도 1학기 적용) -
09.숙명역사관을 개관하다.
다목적관 528.46㎡(160평)을 준공하다. -
10.교육대학원 교학팀을 신설하다. 부속기관인 숙명역사관을 박물관내 산하기관으로 개편하고, 약학연구소 산하기관에 세포운명조절연구센터를 신설하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47-21 대지 208.9㎡, 건물 384.93㎡를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12.안보학연구소를 신설하다.
- 2012
-
01.국제관계대학원 인간안보및국제기구전공을 글로벌안보협력전공으로 스포츠 외교전공을 스포츠및공공외교전공으로 변경하다. (2012학년도 2학기 적용)
창업보육센터 2,187.87㎡(661.83평)를 준공하다.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48-2, 12 대지 408.3㎡, 건물 316.11㎡를 교육연구시설 용도로 매입하다 . - 02.연계전공으로 글로벌환경학전공을 신설하고 안보군사학전공을 안보학전공으로 변경하다.
- 03.산학협력단 산하 창업보육센터를 연구처 산하조직으로 변경하다.
- 05.통합인문학연구소를 신설하고, 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문화관광학과를 신설하다.(2012학년도 2학기 적용)
- 09.교육언어학박사 황선혜 선생 제18대 총장에 취임하다.
- 10.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홍보광고학과를 신설하다. (2013학년도 적용)
- 2013
- 01.명신관 1,006.14㎡(304.36평)을 증축하다.
-
02.일반대학원 석사・박사과정에 생명시스템학과를 신설하다.(2013학년도 적용)
행정조직개편을 통해 3직할부서, 8처, 10부속기관, 16부설기관, 18부설연구소, 1산학협력단을 4직속기구, 8처, 7부속기관, 11처 산하 부설기관, 17부설연구소로 개편하다.
직할부서를 직속기구로 명칭을 변경하고 산학협력단을 직속기구로 개편하다. 직속기구에 미래전략실을 신설하고 미래전략실 내에 미래전략팀을 두다. 숙명리더십개발원을 폐지하다.
지식정보처 교수학습센터를 교무처로 소속을 변경하다.
연구처 연구지원센터에 연구기획팀을 신설하고, 부설기관인 숙명앙트러프러너십센터를 연구처 창업보육센터 내 앙트러프러너십지원팀으로 편제를 변경하다. 부설기관인 한국음식연구원을 연구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개편하다.
입학처 입학전형개발센터를 입학기획관리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입학기획관리센터 내에 입학사정관팀과 입학팀을 두다.
학생처 학생문화복지팀을 학생지원팀으로, 학생서비스센터 학생서비스팀을 장학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학생처에 사회봉사센터를 신설하고, 사회봉사실을 사회봉사팀으로, 장애학생지원센터를 장애학생지원팀으로 편제를 변경하여 사회봉사센터에 두다. 학생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숙명미디어센터를 신설하다. 부설기관인 영상미디어센터를 영상미디어팀으로 편제를 변경하고, 숙대신보사와 영상미디어팀을 숙명미디어센터에 두다. 부설기관인 보건진료소를 학생처 산하 부설기관인 보건의료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다. 부속기관인 기숙사와 부설기관인 학생생활상담소, 성평등상담소를 학생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개편하다.
사무처 SOC총무인사팀을 총무인사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부설기관인 르꼬르동블루-숙명아카데미, 유아원을 사무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개편하다.
기획처 전략기획팀을 조직운영팀으로, 평가감사실을 평가관리실로 명칭을 변경하다.
대외협력처에 국제협력센터를 신설하고, 국제교류팀과 국제학생지원팀을 두다. 부설연구기관인 아태여성정보통신원과 부설기관인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를 대외협력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개편하다.
지식정보처를 관리정보처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보통신센터를 신설하다. 지식정보운영팀을 정보운영팀으로, 지식정보시스템팀을 정보시스템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정보통신센터에 두다. 사무처 건설팀과 시설지원센터 시설지원팀을 관리정보처로 소속을 변경하고, 건설지원팀과 시설관리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관리정보처에 실험동물실과 공동기기실을 통합하여 실험자원관리팀을 신설하다. 부설기관인 가정경영실습관을 관리정보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개편하다.
도서관을 중앙도서관으로 개편하고, 장서개발팀, 학술정보서비스팀, 학술정보관리팀, 전자정보지원팀, 법학전문도서관 법학전문도서팀을 학술정보개발팀, 학술정보서비스팀, 디지털정보팀, 법학전문도서팀으로 개편하다.
박물관, 정영양자수박물관, 문신미술관, 숙명역사관을 숙명문화원으로 소속을 변경하다. 박물관 학예팀을 폐지하고 숙명문화원에 문화기획팀을 신설하다.
취업경력개발원의 취업경력개발팀을 취업지원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취업경력개발원에 경력개발팀을 신설하다.
교양교육원을 리더십교양교육원으로, 역량개발센터를 리더십역량개발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교양교육원 소속의 교양교육센터는 폐지하다.
대학원 교학팀을 신설하다.
부속기관인 연수원을 폐지하다. - 05.SM Global 'I' Promise 선포식을 거행하다.
- 06.대학원 생명과학과를 폐지하다. (2013학년도 2학기 적용)
-
08.정책·산업대학원을 정책산업대학원으로 변경하다.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패션코디네이션디자인전공,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리빙스타일디자인전공, 음악치료대학원 치유음악목회전공, TESOL대학원 CALL전공, 사회교육대학원 골프매니지먼트전공을 폐지하다.
국제관계대학원 국제홍보전공과 스포츠및공공외교전공을 국제관계대학원 국제홍보및공공외교전공으로 통합하다.
정책산업대학원 소비자경제학전공을 소비자경제금융전공으로, e비즈니스전공을 IT융합비즈니스전공으로,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여성인적자원개발전공을 인적자원개발전공으로, 원격대학원 원격교육공학전공을 교육공학전공으로, 원격대학원 실버산업전공을 실버비즈니스전공으로 변경하다.
사회교육대학원 미용예술전공을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미용예술전공으로, 사회교육대학원 리더십교육전공을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리더십교육전공으로 소속을 변경하다.
원격대학원 음악치료전공과 창의교육비즈니스전공을 신설하다. (2014학년도 1학기 적용) - 10.학생처 산하 보건의료센터 내에 건강관리팀과 부속의원을 신설하다.
- 11.국제6A관(107.11㎡), 국제6E관(316.11㎡)를 철거·멸실하다.
- 12.교무처에 디지털휴머니티즈센터를 신설하다.
- 2014
-
02.행정조직개편을 통해 4직속기구, 8처, 7부속기관, 처산하 11부설기관, 17부설연구소를 4직속기구, 8처, 7부속기관, 처산하 10부설기관, 14부설연구소로 개편하다.
미래전략실을 감사실로 명칭을 변경하다.
연구처 창업보육센터 내 앙트러프러너십지원팀을 연구처 내 앙트러프러너십센터로 개편하다.
입학처 입학기획관리센터 내 입학팀과 입학사정관팀을 입학팀으로 통합하다.
기획처 조직운영팀을 전략기획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대외협력처 발전협력팀을 발전기금팀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대외협력처 국제협력센터 내 국제교류팀과 국제학생지원팀을 국제협력팀으로 통합하다.
사무처 산하 부설기관인 르 꼬르동블루-숙명아카데미 교학팀을 교무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소속을 변경하다.
부설연구기관 여성건강연구소에 건강생활과학연구센터를 신설하다. - 03.사무처 산하 부설기관인 유아원을 폐지하다.
-
10.일반대학원 석사과정 학과 간 협동과정 인력개발정책학을 신설하다. (2015학년도 1학기 적용)
교육대학원 내 교육행정전공, 역사교육전공, 화학교육전공, 가정교육전공을 폐지하다. (2015학년도 1학기 적용) - 12.여성건강연구소 산하 부설기관인 SIS면역학연구센터를 산학협력단 산하 부설기관으로 소속을 변경하다.
- 2015
- 01.부설연구기관으로 ICT융합연구소를 신설하다.
-
02.이과대학 생명과학과와 의약과학과를 생명시스템학부(정원 59명)로 통합하다.
공과대학을 신설하고, 이과대학 멀티미디어과학과를 공과대학 IT공학과(정원 40명)로 개편하고,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부(정원 60명)를 신설하다. (2016학년도 1학기 적용) -
04.취업경력개발원에 IPP센터를 신설하다.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한국과학기술원 학·연·산협동과정을 설치하고, 운영학과는 자연과학계열 전체학과로 하다. (2015학년도 2학기 적용) - 06.대외협력처의 발전기금팀을 발전협력팀으로 부서명칭을 변경하다.
-
07.관리정보처 시설관리팀과 건설지원팀을 시설관리팀으로 통합하다.
취업경력개발원 취업지원팀과 경력개발팀을 취업경력개발팀으로 통합하다.
부속기관 국제언어교육원에 한국어교육센터를 신설하다. -
09.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가정관리학과를 가족학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대학원 박사과정에 식품의약품안전청 학·연·산 협동과정을 식품의약품안전처 학·연·산 협동과정으로 명칭을 변경하다.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IT공학과, 화공생명공학과를 신설하고(2016학년도 1학기 적용), 대학원 석사과정에 사회심리학과를 신설하다.
부설연구기관 여성건강연구소에 분자의학연구센터를 신설하다. -
11.국제관계대원 기후환경융합전공을 신설하다.
숙명호스피탈리티경영전문대학원 야간과정 르꼬르동블루호스피탈리티경영전공을 MBA로 변경하다.
취업경력개발원 산하 대학창조일자리센터를 신설하다. - 12.공과대학에 교학팀을 신설하다.
-
- 2016
-
02.사무처 구매팀과 관재팀을 구매관재팀으로 통합하다.
기획처 전략기획팀과 평가관리실을 전략기획팀으로 통합하다. - 03.부설연구기관 글로벌거버넌스 연구소를 신설하고, 부설연구기관 글로벌인적자원개발센터를 글로벌거버넌스 연구소 산하로 소속을 변경하고, 글로벌거버넌스 연구소에 국제평화협력센터를 신설하다.
- 04.취업경력개발원 산하 듀얼공동훈련센터를 신설하다.
-
05.리더십교양학부와 리더십교양교육원을 폐지하고 기초교양대학을 신설하다.
정책산업대학원(정원 42명) 소비자경제금융전공을 폐지하다.
임상약학대학원(정원 20명) 사회약학전공을 폐지하고 임상약학전공을 약료경영전공으로 명칭 변경하다.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정원 56명) 커리어상담전공을 신설하다. (2015학년도 2학기 적용)
숙명호스피탈리티 경영전문대학원을 경영전문대학원으로 명칭 변경하고, 주간과정 르꼬르동블루호스피탈리티경영전공을 MBA로 변경하다.
이과대학 컴퓨터과학부를 공과대학 소프트웨어학부 컴퓨터과학전공(정원 60명), 소프트웨어융합전공(정원 30명)으로, 이과대학 나노물리학과를 공과대학 ICT융합공학부 응용물리전공(정원 40명)으로, 공과대학 IT공학부를 공과대학 ICT융합공학부(IT공학전공)(정원 60명)으로 개편하고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부는 증원(정원 63명)하다.
공과대학 기초공학부(정원 80명), ICT융합공학부 전자공학전공(정원 40명), 기계시스템학부(정원 50명)를 신설하다.
기초교양대학 내 기초교양학부, 융합학부를 신설하다. (2017학년도 1학기 적용) -
09.경영학박사 강정애 선생 제 19대 총장에 취임하다.
학교 인접 토지(청파동 2가 47-4, 49.9m2)를 매입하다. - 12.교육용 기본 재산(갈월동 에이트리움-고려 2층, 1,170.92㎡, 연구소)을 매각하다.
- 2017
-
02.행정조직개편을 통해 4직속기구, 8처, 6부속기관, 11처 산하 부설기관, 17부설연구소를 4직속기구, 4직속사업단, 8처, 2부속기관, 5부속교육기관, 9처 산하 부설기관, 17부설연구소로 개편하다.
산학협력단을 연구처와 통합하고 경영지원팀, 연구개발혁신팀, 연구관리팀, 공동기기운영팀, 기술사업화팀, 창업보육센터, 젠더이노베이션센터를 두다.
직속사업단으로 BK21플러스지원사업단, 프라임사업단, CROSS캠퍼스추진단, LINC+추진사업단을 두다.
기획처 전략기획팀, 예산기획팀을 기획팀, 예산팀으로 명칭변경하고, 대학혁신평가실을 신설하다.
교무처 교무지원팀, 학사지원팀, 교직운영실을 교무팀, 학사팀, 교원양성센터로 명칭변경하고, 교수학습센터는 교육혁신센터로 개편하여 교육혁신팀, 교수학습지원팀을 두다.
학생처 사회봉사센터를 학생지원팀으로 통합하다.
학생처 산하 부설기관 기숙사를 학생생활관으로 개편하고, 보건의료센터 산하 건강지원팀을 폐지하며, 숙명미디어센터는 미디어센터로 명칭변경하고, 영상미디어팀을 폐지하다.
취업경력개발원을 경력개발처로 개편하고 경력개발팀, 취업지원팀, 현장실습지원팀을 두며, 연구처 산하 부설기관 앙트러프러너십센터는 경력개발처 산하로 편제하다.
사무처 총무인사팀, 구매관재팀을 직원인사팀, 총무구매팀으로 개편하다.
관리정보처 정보통신센터 정보운영팀, 정보시스템팀을 정보통신팀으로 통합하고, 관재팀을 신설하다.
중앙도서관 법학전문도서팀을 폐지하다.
부속교육기관으로 글로벌사회교육원을 신설하고, 평생교육원, 국제언어문화교육원, 한국음식연구교육원, 르꼬르동블루-숙명아카데미를 편제하다. -
03.교육용 기본 재산(공덕동 43외 2채, 179.9㎡, 외부 기숙시설)을 매각하다.
학교 인접 토지(청파동 2가 47-4, 49.9m2)를 매입하다. - 05.Sookmyung Renaissance 선포식을 거행하다.
- 06.산학협력단 산하 연구감사팀을 신설하다. 아시아여성연구소와 다문화통합연구소를 아시아여성원구원으로 통합하다.
-
07.연계전공으로 기술인문융합전공을 신설하다.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전자공학과, 기계시스템학과, 시각·영상디자인학과를 신설하고, 기악학과를 2개 전공(피아노과, 관현악과)으로 분리·신설하다. (2018학년도 1학기 적용)
일반대학원 박사학위과정에 학과간협동과정으로 헬스산업학을 신설하다. (2018학년도 2학기 적용)
특수대학원 학제개편을 통해 총 7개 대학원, 19개 학과로 개편하다. TESOL 대학원과 국제관계대학원을 TESOL․국제대학원으로 통합하고 글로벌서비스학과, 기후환경융합학과, TESOL 학과를 두다.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사회교육대학원을 문화예술대학원으로 통합하고 전통예술학과, 라이프스타일디자인학과, 예술교육학과를 두다. 정책산업대학원을 정책대학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문화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를 두다.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을 인적자원개발대학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인적자원정책학과, 커리어개발학과를 두다. 심리치료대학원을 신설하고 놀이치료학과 미술치료학과를 두다. 음악치료대학원 임상음악치료전공은 임상음악치료학과로 명칭을 변경하다. 원격대학원 아동문화콘텐츠전공은 폐지하고, 전공 명을 향장미용학과, 교육공학과, 영․유아교육학과, 실버비즈니스학과, 음악치료학과, 창의영재콘텐츠학과로 변경하다.(2018학년도 2학기 적용) - 08.첨단소재시스템연구소를 신설하다.
-
09.교육혁신원을 직속기구로 신설하고 교수학습센터, 교육혁신연구센터를 두다.
창업지원단을 신설하여 창업보육센터, 앙트러프러너십센터, 창업지원팀을 두다.
기획처에 신사업기획단을 신설하다.
기획처 대학혁신평가실을 평가실로 명칭변경하고, 평가실 산하에 평가팀을 신설하다. - 12.평생교육원을 미래교육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대학창조일자리센터를 대학일자리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다.
- 2018
-
02.교육혁신원 산하에 비교과관리센터를 신설하다.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에 세라믹기술원 학연산협동과정을 신설하다.(2018학년도 2학기 적용) -
04.프라임사업단 산하에 공학기초교육센터를 신설하다.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글로벌서비스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과를 신설하다.(2019학년도 1학기 적용) - 05.총장직속기구로 연구윤리진실성위원회를 신설하다.
- 08.일반대학원 박사과정에 전자공학과, 기계시스템학과를 신설하다.(2019학년도 1학기 적용)
-
09.부총장직을 신설하다.
행정조직을 6직속기구, 7처, 1원, 1단, 2부속기관, 4부속교육기관, 처 산하 13부설기관, 16부설연구기관으로 개편하다. 감사실을 법무감사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대외협력처를 대외협력본부 및 국제처로 분리 신설하다. 대외협력본부는 총장직속기구에 편제하여 산하에 발전협력팀과 홍보실에서 개편된 커뮤니케이션팀을 두고, 국제처는 산하에 국제팀, 아태여성정보통신원, 국제언어문화교육원을 편제하다.
인권센터를 총장직속기구에 신설하여 산하에 인권상담소를 신규로 설치하고, 성평등상담소를 편제하다. 산학협력단 소속 기술사업화팀을 기술사업화센터로 승격, 개편하다. 총장직속사업단으로 BK21플러스지원사업단, 프라임사업단, CROSS캠퍼스추진단, LINC+추진사업단, 캠퍼스타운사업단을 두다.
학생지원팀과 장학팀을 학생지원센터로 통합·개편하고, 사무처와 관리정보처를 통합하여 사무·관리처로 개편하다.
교육혁신원과 창업지원단을 부총장 직속기구로 편제하다. - 11.특수대학원 TESOL·국제학대학원 글로벌서비스학과를 국제관계학과로 명칭변경하다.(2019학년도 1학기 적용)
-
12.교육혁신원을 총장직속기구로 이동하고, 산하에 교육혁신사업단을 신설하다.
교육혁신원 교육연구센터를 대학IR센터로 명칭변경하다.
산학협력단 산하에 CROSS캠퍼스운영센터를 신설하다.
- 2019
-
02.특수대학원 인적자원정책학과와 인적자원개발전공을 인적자원개발학과와 인재개발전공으로 창의영재콘텐츠학과, 창의영재콘텐츠전공을 창의콘텐츠학과, 창의콘텐츠전공으로 명칭변경하다.
프라임사업단 산하 공학기초교육센터를 교육혁신원 산하로 두다 학생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사회봉사센터 신설하다.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 빅데이터분석융합학 학과간 협동과정 신설하다.
일반대학원 석사학위과정, 박사학위과정 기후환경에너지학 학과간 협동과정 신설하다.
중앙도서관 학술정보개발팀, 학술정보서비스팀, 디지털정보팀을 학술정보지원팀, 학술정보운영팀으로 개편하다. -
04. 기획처 소속 기획팀, 평가팀을 기획팀으로 통합하다.
사무·관리처 소속 시설관리팀을 시설종합관리센터로 승격, 개편하다.
공과대학 교학팀 폐지하다.
학생처 산하 학생생활상담소가 숙명행복상담센터로 승격,개편하다.
2020학년도 문과대학 문화관광학부를 문화관광외식학부로 명칭변경하다.
교육혁신원 산하 교육현신사업단을 부총장 직속기구 대학혁신단으로 이동, 개편하다. - 06.산학협력단 산하에 미래기술융합ICC를 신설하다.
-
09. 입학처 산하 입학기획관리센터를 폐지하고, 산하에 1팀(입학팀)으로 개편하다.
경력개발처산하 경력개발팀, 취업지원팀, 현장실습지원팀을 통합하여 인재개발센터로 승격, 개편하다.
국제처 산하 국제언어문화교육원과 국제언어문화교육원 운영팀을 숙명글로벌어학원과 숙명글로벌어학원운영팀으로 명칭변경하다.
국제처 국제언어문화교육원 산하 한국어교육센터를 폐지하고 업무는 명칭변경된 숙명글로벌어학원운영팀으로 이관하다.
교육혁신원 산하 비교과관리센터를 대학IR센터에 업무이관 후 통합하였으며, 공학기초교육센터는 폐지하다.
일반대학원 박사 학위과정으로 문화예술교육학(학과간 협동과정)을 신설하다.(2020학년도 전기모집부터 적용) - 12.국제처 숙명글로벌어학원운영팀을 숙명글로벌어학원교학팀으로 명칭변경하다,
- 2020
-
03.학생처 산하 부설기관 미디어센터를 폐지하고, 대외협력본부 산하 커뮤니케이션팀과 통합하다.
미디어센터 산하에 있었던 학생 언론 자치 단체인 숙대신보사, 교육방송국(SBS)는 학생처 산하 부설기관으로 그대로 두다.
창의융합디자인연구소를 신설하다. - 07.산학협력단 산하 젠더이노베이션센터를 폐지하고, 산학협력단 산하에 기술지주회사, 혁신선도대학사업단을 신설하다.
-
08.연계전공으로 글로벌지식경영전공을 신설하다.
특수대학원의 입학정원을 TESOL·국제학대학원 52명에서 50명으로, 문화예술대학원 131명에서 135명으로, 심리치료대학원 62명에서 66명으로, 인적자원개발대학원 56명에서 50명으로 조정하다. (2021학년도 적용) - 09.문헌정보학박사 장윤금 선생 제 20대 총장에 취임하다.
-
10.원격교육지원센터를 총장직속기구 교육혁신원 산하에 신설하다.
디지털정보혁신처를 신설하였으며, 산하로 데이터전략팀을 신설, 사무·관리처 산하 정보통신팀을 디지털인프라팀으로 개편 후 디지털정보혁신처 산하로 이동하다.
부설연구기관으로 음악교육연구소를 신설하다. - 11.부설연구기관으로 교육연구소를 신설하다.
- 2021
- 01.부총장직속기구의 사업단 중 BK21플러스지원사업단을 BK21총괄사업단으로 명칭변경하다.
-
02.총장직속기구의 대외협력본부를 대외협력실로 개편하다.
국제처의 국제팀을 외국인 학생 유치·입학·지원 등 통합업무체계 마련을 위해 국제협력팀과 유학생서비스팀으로 개편하다. -
03.글로벌융합대학을 신설하다.
대학원 석사과정, 박사과정의 자연과학계열 물리학과를 공학계열 응용물리학과로 계열 및 학과명을 변경하다. (2021학년도 2학기) -
07.부총장직속기구 산하 사업단으로 빅데이터혁신공유사업단을 신설하다.
부설연구기관인 아동연구소를 폐지하다. -
08.경력개발처 산하 부설기관인 IPP센터, 듀얼공동훈련센터를 폐지하고, 현장실습지원센터를 신설하다.
교육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전자계산교육전공을 컴퓨터교육전공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AI융합교육 전공을 신설하다. -
10.숙명혁신자문위원회를 폐지하다.
특수대학원 원격대학원 영·유아교육학과를 영유아교육학과로 명칭 변경하다.
일반대학원에 작곡학과 박사과정을 신설하다. (2022학년도 2학기 적용) - 12.총장직속기구로 디지털휴머니티센터를 신설하다.
- 2022
- 02.기획처에 평가실을 신설하다.
-
04.경력개발처 산하 대학일자리센터를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로 명칭을 변경하다.
공과대학 첨단분야 학과 신설을 위해 ICT융합공학부의 IT공학전공(정원 60명)을 인공지능공학부(정원70명)으로 변경하고, ICT융합공학부의 전자공학전공(정원40명)과 응용물리전공(정원40명)을 첨단소재·전자융합공학부(정원90명)으로 변경하고 산하에 지능형전자시스템전공과 신소재물리전공을 두다. 공과대학 소프트웨어학부의 컴퓨터과학전공(정원60명)과 소프트웨어융합전공(정원 30명)을 소프트웨어학부(컴퓨터과학전공,데이터사이언스전공)으로 변경하고 정원100명을 두다. (2023학년도 적용) -
05.부총장직속기구 산하 사업단으로 SW중심대학사업단을 신설하다.
산학협력단 산하 혁신선도대학사업단을 폐지하다. -
06.총장직속기구로 LINC3.0사업단을 신설하고, 그 산하에 LINC3.0추진팀을 두다.
부총장직속기구 산하 LINC+추진사업단을 폐지하다.
산학협력단 조직개편을 통해 경영지원팀, 산학·연구기획팀, 연구감사팀, 산학협력진흥본부, 연구진흥본부를 설치하고, 산학협력진흥본부 산하에 기술사업화센터, 산학협력교육센터, 산학공유·협업센터를, 산학공유·협업센터 산하에는 미래기술융합ICC와 CROSS캠퍼스운영센터를 두며, 연구진흥본부산하에 연구개발혁신팀, 연구관리팀, 공동기기운영팀을 두다.
사무·관리처 산하에 안전관리팀을 신설하다.
부설연구기관 여성건강연구소를 여성건강연구원으로 변경하다. - 10.부설연구기관 창의융합디자인연구소를 창의융합연구소로 변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