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명여자대학교

사이트맵 열기

사이트맵

 
모바일메뉴열기 모바일메뉴 닫기

SM뉴스

PEOPLE

이명석 교수연구팀, 국제공동연구로 유전공학적으로 유용한 항산화 물질 생산 기술 개발

  • 조회수 2099
  •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 보도일자 2020-09-29

우리대학 이명석 생명시스템학부 교수 연구팀이 중국 연구팀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해양 미생물 세포에서 식용으로 안전한 내열성 κ-carrageenase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물질 생산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홍조류에서 추출한 항산화 선형 다당류인 Carrageenan은 식품 첨가물, 안정제 및 유화제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명석 교수에 따르면 이번 연구에서 획득한 물질은 체내 흡수도가 매우 높아 기존 carrageenan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했다.

 

  

(사진 좌측부터) 이명석 교수, Dr. Shangyong Li, Linna Wang 교수

 

이명석 교수와 중국 칭다오 대학의 Shangyong Li, Linna Wang 교수연구팀은 κ-carrageenase를 유전공학적으로 조작하여 세포 밖으로 분비되도록 했으며, 식용으로 안전하고 분비능력이 뛰어난 효모 Yarrowia lipolytica에서 매우 높은 분비능력을 보임을 확인했다. 분비된 CgkAκ-carradiaose를 주산물로 생성하며 내열성 특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제 κ-COS 생산에 적합한 후보로 입증됐다.

 

이명석 교수는 “CgkA의 분리 및 발현은 식품의 젤리화, 약품과 화장품의 안정화, 점도 조정제 등 생명공학 응용분야에 있어서 상업적 사용을 위한 탁월한 후보라고 설명했다.

 


 

 

(κ-carrageen 중합체와 효소에 의해 절단되어 나오는 carratetraose)

 


 

 

(κ-carratetraose가 부착된 효소의 활성자리)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SRC)과 해외연구자 공동연구사업(KRF)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국제 저명학술지 푸드 케미스트리 (Food Chemistry)’ 9월호에 게재됐다.

 

 

(논문명: Production of a thermo-tolerant κ-carrageenase via a food-grade hos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ts enzymatic hydrolysate)


현재 우리대학 산학협력단장을 맡고 있는 이명석 교수는 “대학 경쟁력의 원천인 연구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보의 제공, 우리대학 특성화 분야 연구의 강화, 연구성과의 창출과 우수기술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